뉴한국방송뉴스통신사 김성의 기자 | 전라남도교육청은 20일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에서 여순항쟁 유족총연합회와 간담회를 갖고, “역사 왜곡 도서 유입을 철저히 차단하여 교육현장에서 다시는 같은 아픔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4일 비공개 간담회에서 제시된 유족총연합회의 재발 방지 대책 요구에 대해 전남교육청이 유족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향후 실천 방안 및 계획을 설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전남교육청은 지난 5월 31일 뉴스타파에서 최초 제기된 리박스쿨 늘봄학교 위탁 강사 및 프로그램 관련 의혹에 대해 6월 2일 전수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남에서는 리박스쿨 관련 강사와 프로그램이 없음을 확인한 바 있다. 이어 7월 10일 최초로 제기된 리박스쿨 관련 도서는 앞선 전수조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음을 유가족에게 설명했다.
또한, 8월 4일 유가족과의 면담 이후 실질적인 종합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역사왜곡 자료 유입 재발방지 TF팀’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8월 11일부터 학교 현장에 역사왜곡 및 친일 잔재 관련 도서 비치 여부를 전수조사하는 후속조치를 이어오고 있다.
전남교육청은 이번 간담회에서 “역사 왜곡 도서가 교육현장에 다시는 유입되지 않도록,‘역사 왜곡 도서 유입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며 이미 마련된 대책(안)을 유가족께 직접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했다.
유가족의 의견을 반영한 ‘역사왜곡 도서 유입 재발 방지 대책(안)’은 ▲ 학교도서관발전위원회 기능 강화 ▲ 역사왜곡 도서 상시 점검단 운영 ▲ 역사의식 및 전남 義교육 함양을 위한 교육 실시 ▲ 아시아 義 청소년 헌법교육센터 설치 ▲ 학교도서관 자료 구입 및 검수에 대한 감사 강화 ▲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심의 기능 강화 등이다.
특히,‘학교도서관발전위원회’의 구성원을 시민단체활동가, 역사전문가 등으로 추가 확대하여 학교도서관의 도서 선정‧심의를 강화하고 ‘학교 도서 상시 점검단’을 운영하여 지속적으로 소장 자료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다.
전남교육청은 이번 일을 교훈 삼아, 올바른 역사의식 함양과 K-민주주의 교육을 위해 여순 10·19 평화인권 교육을 포함한‘아시아 義 청소년 헌법교육’센터를 설립하고, 지역의 역사적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헌법교육과 전남義교육을 강화해 갈 방침이다.
[뉴스출처 : 전남교육청]